전체 글68 순환함수 (재귀함수) 순환함수 (Recursion) : 알고리즘이 자기 자신을 반복적으로 호출하는 함수 간단한 예제 } public class Recurs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 int n = 4; func(n); } public static void func(int k) { if (k C 3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식으로 .n개의 원판이 있을 경우 n-1개의 원판을 B로 이동 n번째의 원판을 C로 이동 n-1개의 원판을 C로 이동 void hanoiTower(int n , char A , char B , char C) { if (n = 1) { System.out.println(n + ":" + A + ">>" + C) }else{ hanoiTow.. 2020. 6. 22. Cookie 란? HTTP는 stateless 이다 이것은 메모리가 없다는 뜻인데 웹은 항상 유저와 연결 되어있지 않음 웹사이트에 (해당 페이지의 HTML) Request 웹사이트는 요청받은 HTML을 Response > 연결 이후 연결 종료 이러한 요청과 연결을 할때 무작정 요청 하는대로 다 줄수는 없다 그래서 인증을 하게되는데 문제는 모든 요청에 이 과정이 발생 하게 됨 그런데 위에서 말했다시피 HTTP는 메모리가 없다 그래서 나온것이 쿠키 이다 쿠키는 1개의 도메인에 종속되어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A도메인에서 보낸 쿠키는 B도메인에선 읽을 수가 없다 쿠키는 자동으로 원하는 만큼 서버에서 보낼 수 있다 2020. 6. 16. 자바스크립트 핵심 컨셉 33 - (1) Call stack , Primitive Types 1. Call stack 자바스크립트 실행해야하는 함수는 스택위에 올라간다 그리고 함수를 스택위에 다 올리고 함수를 다 살행하면 제거 * 스택이란?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로 말 그대로 가장 마지막에 쌓인 놈이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이다 function three(){ console.log("JavaScript"); } function two(){ three(); } function one(){ two(); } function zero(){ one(); throw Error("Error Message!!!!"); } zero(); 위의 스크립트를 실행해보면 첫번째 zero함수를 호출하여 zero가 스택에 쌓인다 그후 zero에서 one함수를 호출하여 스택에 one.. 2020. 6. 15.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 타입,연산자 JavaScript 에서 기본 타입은 숫자,문자열,불린값 , null , undefined 라는 타입이 있다 JavaScript는 느슨한 타입 체크 언어이다 C언어나 JAVA의 경우에는 변수에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char, int,float, 등과 같이 타입에 맞게 지정을 해야 한다 하지만 JavaScript는 변수를 선언할때 타입을 미리 지정하지 않고 var라는 한가지 타입으로만 변수를 선언한다 이렇게 선언된 변수에는 어떤 타입의 데이터라도 저장이 가능 JavaScript 변수에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냐에 따라 변수의 타입이 결정 됨 // 숫자타입 var intNum = 10; var floatNum = 0.1; // 문자열 타입 var str1 = 'str1'; var str2 = .. 2020. 6. 8. 이전 1 ··· 4 5 6 7 8 9 10 ··· 17 다음